[이태원 클라쓰] 박새로이 – 원칙을 지키려는 리더의 심리적 뿌리
JTBC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는 불의에 맞선 청년의 집요한 성공기이자, 신념과 정의, 그리고 인간적인 복수의 여정을 그린 이야기다. 그 중심에 선 인물 박새로이(박서준 분)는 절대 타협하지 않는 가치관과 강한 도덕심을 지닌 리더로 그려진다. 하지만 박새로이의 ‘원칙’은 단순한 도덕적 태도가 아니다. 그가 고집스럽게 신념을 밀고 나가는 이면에는 트라우마, 상실, 불안, 그리고 자기 확신을 통한 정체성 복원 이라는 복합적인 심리 구조가 깔려 있다. 1. 정의감으로 무장한 청춘 – 신념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었다 박새로이는 고등학생 시절, 부당한 권력과 마주하게 된다. 급우의 폭력에 맞서며 “맞고도 가만히 있는 게 더 부끄럽다”고 말하는 장면은, 그가 타고난 정의감의 소유자처럼 보이게 만든다. 하지만 이 태도는 단순한 선의나 도덕심이 아니다. 그에게 정의는 세상과의 유일한 연결고리이자, ‘아버지에게 배운 유일한 삶의 철학’이다. 부친이 갑작스럽게 사고로 사망하고, 세상은 진실을 덮어버린다. 그 순간부터 박새로이는 세상과 타협하지 않고, 자기 방식으로 살아남는 결심 을 한다. 즉, 신념은 그에게 생존의 이유이자 정체성의 중심 이 된다. 2. 타협 없는 고집 – 현실을 통제하려는 심리적 보상 박새로이는 항상 “옳다고 믿는 것”만을 따른다. 상대가 누구든, 상황이 어떻든, 그는 자신의 원칙을 꺾지 않는다. 이러한 태도는 때론 강직함으로, 때론 고집과 융통성 부족으로 보이기도 한다. 심리학적으로 보면 이는 자기 통제력 강화(self-control assertion)와 관련이 있다. 특히 과거에 무기력한 상황(부친의 죽음, 퇴학, 사회적 배제)을 겪은 사람일수록 , 자신의 판단이나 신념을 쉽게 바꾸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왜냐하면 그 신념은 ‘내가 세상을 이겨내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박새로이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현실보다 신념에 충실한 세계관 을 구축한 사람이다. 3. 리더십의 핵심 – 약자에 대한 확고한 연대 의식 박새로이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