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센조] 빈센조 까사노 – 범죄와 정의 사이의 경계에서 살아가는 심리
tvN 드라마 [빈센조]의 주인공 빈센조 까사노(송중기 분)는 한국계 이탈리아 변호사이자 마피아 콘실리에리(Consigliere)다. 그는 합법과 불법, 정의와 범죄라는 상반된 영역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인물이다. 표면적으로는 냉철하고 무자비한 해결사지만, 그 내면에는 자신만의 가치와 도덕 기준 이 뚜렷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이 글에서는 빈센조라는 캐릭터의 이중성, 심리적 동기, 그리고 정의관의 유연성 을 분석해본다. 1. 범죄 속에서 자란 아이 – 생존이 먼저였던 삶 빈센조는 어릴 때 한국에서 이탈리아로 입양되었다. 하지만 그곳에서 기다린 건 안정된 가정이 아니라, 범죄 조직의 세계였다. 그에게 세상은 애초부터 공정하지 않았고, 살아남으려면 힘과 전략 이 필요했다. 이런 환경은 그를 도덕보다 생존을 우선하는 사고방식 으로 만들었다. 심리학적으로는 실용주의적 생존 전략(pragmatic survivalism)에 해당한다. 그는 법이 아니라 ‘자신에게 유리한 규칙’을 기준으로 세상을 해석하고 행동한다. 2. ‘선’과 ‘악’이 아닌, ‘이익’과 ‘불이익’의 계산 빈센조의 도덕적 기준은 절대적인 선악 개념과는 다르다. 그는 불법을 사용해서라도 불의를 바로잡지만, 동시에 자신의 이익도 놓치지 않는다. 이는 도덕적 상대주의(moral relativism)에 가까운 태도다. 그에게 정의란, 법과 제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옳다고 믿는 것”과 “내 사람을 지키는 것”에서 나온다. 그렇기에 그는 범죄 수단을 정의 실현의 도구로 쓰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3.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이중성 겉으로는 냉혹한 해결사지만, 빈센조는 관계에서 의외로 정서적 유대와 충성심 을 중요시한다. 금가프라자 세입자들, 홍차영 변호사, 과거 인연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법과 상식을 뛰어넘는 방식으로 보답하거나 보호한다. 이는 범죄 조직에서 길러진 패밀리(Family) 중심 가치관 과 맞닿아 있다. 그는 ‘혈연’보다 ‘의리’로 맺어진 관...